장생포고래의 역사

HOME고래문화특구장생포고래의 역사

고래와 함께한 장생포

장생포 고래잡이 역사를 살펴보면 1891년 러시아 황태자 니콜라이 2세가 태평양어업 주식회사를 설립한 것이 시초가 되었다.
그 후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고 포경업을 독점하여 전국에 있는 포경기지를 정비하면서 장생포가 포경업의 중심지로 주목되었다.
광복이 되면서 일본인에 의해 운영되던 회사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전액 공동출자한 조선포경 주식회사 설립으로 이때부터 우리나라 포경의 역사가 시작된것이다.

1970년대 말 고래잡이가 전성기를 이룬 시기에 장생포는 20여척의 포경선과 1만여 명의 인구가 상주하는 큰 마을이었지만, 1980년에 이르러 무분별한 포경으로 포획량이 줄고 일부 종의 멸종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하여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에서 상업포경 금지를 결정하면서 고래잡이가 중단되고, 그 후 인근에 공업단지가 조성되면서 포경에 종사한 주민 대부분이 이주하여 마을은 점점 쇠퇴하게 되었다.
장생포의 고래잡이가 한창이던 70, 80년대 6천5백여명에 이르던 주민 수가 현재는 3천명 정도로 줄었다.
지금은 울산광역시에서 장생포의 고래잡이가 울산을 대표할 수 있는 상징이라고 판단, 울산의 지역문화와 연계시키려는 여러 가지 노력을 해 나가고 있다.

출항의식

출항의식
장생포의 고래잡이 어민들은 생명을 걸고 고래잡이를 해야하므로 여러 가지 사고를 막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출항과 입항시에 꼭 제사를 지내왔다.
고래를 잡으러 바다로 떠나기 전, 무탈하게 고래를 많이 잡을 수 있게 마을의 조상신이나 수호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출항의식인 ‘당산제’와 고래를 잡고 장생포로 돌아 왔을 때 치르는 입항의식인 ‘풍경제’를 지냈다.

당산제는 마을 사람들의 연중무병과 평온무사를 비는 제사로 장소는 보통 마을 입구에 있는 제단이나 별도로 마련된 사당에서 지냈으며, 지금도 매년 행하고 있다.
제단은 청결하게 하고 주변에 황토를 깔아 놓으며 솔가지를 끼운금줄을 쳐 잡신의 출입을 막았다.
제주는 마을 사람들 중에서 연로하고 상중에 있지 않는 사람으로 하여 제주는 1주일 전부터 목욕재계하고 육류를 먹지 않으며 상인이나 병자를 만나지 않았다. 제삿날은 운수가 길한 날을 택하여 제물은 전날 차려놓고 제삿날 자시에 동신제문을 읽으면서 시작했다. 제사가 끝나면 굿을 하고 제사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면서 마을사람 전체가 참여하여 음복하고, 신인합일적인 향연이라는데 의의를 두었다.
풍경제는 고래잡이 입항 시기인 음력 10월 5일에 치루어지던 행사로 풍성한 고래 수확과 안녕을 기원하는 제의로 지금은 매년 지내지는 않고 있다.

고래잡이

선사시대부터 이어온 울산의 오랜 전통산업이 포경산업이었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울산의 근대 포경의 시작은 지금으로부터 100여년 전인 1899년 러시아가 태평양 연안에서 잡은 고래를 해체하는 포경기지로 울산의 장생포를 지정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고래잡이가 시작되었다.
일제시대에는 일본 포경회사들이 고래를 잡아 왔으나, 해방 후 조선 포경주식회사가 최초 설립되면서 우리의 손(힘)으로 고래를 잡기 시작하게 되었다.
고래의 포획은 5월부터 12월까지는 동해의 가원도 묵호, 북변 근해를 주 어장으로 하였고, 12월부터 4월까지는 서해의 어청도 근해를 주 어장으로 하여 포경활동을 하였다.
1985년 당시까지 포경선이 잡은 고래의 수는 연평균 900마리였고 주로 밍크고래를 잡았다.
그러나, 1982년 7월 국제포경위원회 <IWC> 제34차 총회에서 고래 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업 포경을 전면 금지하는 의안이 가결되어 1986년부터 포경이 금지됨에 따라 우리나라 유일의 장생포에서도 고래잡이를 할 수 없게 되었다.

고래해체장

고래해체장
장생포 바다 건너편의 고사동 고래해체장은 1961.2.28에 설립된 것으로 한국포경어업수산조합에서 경제적인 사유 등으로 고래해체 처리시설을 소유하지 못했던 다수의 포경업자등을 위하여 설치한 후 IWC에서 포경을 금지하기(1985.12.31)까지 사용해 오다 현재는 파손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해체 작업은 1m가 넘는 도경용 칼을 잡고 고래의 목 부분을 절단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목은 고기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먼저 절단한 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의 위쪽을 자르는 등 갈비, 내장 순으로 들어서 낸다.
보통 5m 정도 밍크고래의 해체시간은 2~3시간, 7~9m의 대형 밍크고래는 보통 6시간이 소요되었다.
대형 참고래의 경우 15시간 동안 매달리기도 했다.
하지만 돌고래 해체시간은 10분정도면 충분했다고 한다.
고래 해체시 쓰이는 도구는 고래해부칼, 해부용 장화, 해부톱, 허리띠 숫돌, 깡끼등이었다.

고래착유장

고래는 예로부터 버릴 것이 하나도 없는 동물로 알려져 왔으며, 고래고기, 고래기름, 고래의 심줄등이 다양하게 쓰여 왔다.
특히 고래기름은 고래의 부산물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이용되어 포경의 주원인이 되었다. 고래는 종류에 따라 기름의 성질도 제각각 달라 쓰이는 용도 또한 다양했다.
동물성 원료(고래기름)는 렌더링이라고 해서 용출법을 사용하는데 열을 직접가하면서 기름을 뽑아내는 방법과 끓는 물 또는 증기를 접촉시켜서 기름을 빼내는 방법이 있다.
고래 기름을 만들기 위해서는 고래 뼈와 지방 등을 큰 가마솥에 넣고 90도 정도의 고온에서 4시간 가량 삶아야 한다.
긴수염고래의 고래기름은 마가린 등의 식료품과 화장품, 비누 등을 제조하는데 이용하였고, 향고래의 기름은 세제나 윤활유, 기계유, 양초, 약품등을 제조하는 등 매우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한편, 고래수염이나 향고래의 아래턱뼈 등은 공예품의 재료로 쓰이고, 뼈는 고래기름을 채취한 후 비료나 가축의 사료로도 이용되어 왔다.